전체 글131 SQL 정리 10일차 DICTIONARY 10.1 Dictionary(메타정보)란 - ORACLE SERVER에 의해서 생성되고 유지보수 -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정보를 가짐 - 읽기 전용으로만 제공되는 뷰(VIEW)와 테이블의 집합 - 데이터 사전( Data Dicitionary ) 테이블은 SYS 사용자가 소유 Dictionary의 예 - ORACLE SERVER 사용자명 - 사용자에게 허가된 권한 - 데이터베이스 객체명( TABLE, SEQUENCE, VIEW, INDEX 등 ) - 테이블 제약조건 - 감사(Auditing) 정보 10.2 Dictionary View의 종류 데이터 사전 뷰( Dictionary View )는 4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각기 다른 접두어를 써서 구분한다 접두어( prefix ) 설 명 USER_ 사용자가 소유한.. 2023. 8. 30. SQL 정리 9일차 TRANSACTION CONTROL 9.1 TRANSACTION의 개념 - Transaction이란 논리적인 업무의 작업단위를 의미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SAVEPOINT COMMIT ROLLBACK [ TO SAVEPOINT명 ] - Transaction은 다음의 사건들로 구성 데이터에 영구적인 변경을 하는 DML명령어 하나의 DDL명령 하나의 DCL명령 - 최초의 실행가능한 SQL명령으로 시작해서 다음 사건 중 하나로 종료됨 COMMIT이나 ROLLBACK DDL이나 DCL 명령 실행( automatic commit ) deadlock 등의 error, system crash, exit 9.2 TRANSACTION CONTROL 명시적인( Explicit )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 명령어 설 명 COMM.. 2023. 8. 29. SQL 정리 8일차 CONSTRAINT Constraint (제약조건 ) 의 개념 - Constraint란, 데이터 무결성 유지를 위하여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개념 - 모든 Constraint은 데이터 사전 ( Data Dictionary )에 저장 - 의미있는 이름을 부여해야 Constraint를 참조하기 쉽게 된다 - Constraint의 이름은 표준 객체 명명법을 따르는게 좋다 - Constraint의 이름은 한 사용자 내에서 중복될 수 없다. - Constraint의 이름을 생략했다면 ORACLE은 SYS_Cn형식의 이름을 만든다 Constraint 정의 방법 제약조건을 정의하는 방법에는 컬럼 레벨 ( Column Level )과 테이블 레벨 ( Table Level )의 두가지 방법 1. 컬럼 레벨 제약조건 - 어떤 유형의 제약조.. 2023. 8. 27. SQL튜닝 - Chpater07. SQL옵티마이저 7.1 선택도와 카디널리티 선택도(Selectivity)란, 전체 레코드 중에서 조건절에 의해 선택되는 레코드 비율 선택도 구하는 공식 선택도 = 1 / NDV 카디널리티(Cardinality)란, 전체 레코드 중에서 조건절에 의해 선택되는 레코드 개수. 카디널리티 구하는 공식 카디널리티 = 총 로우 수 * 선택도 = 총 로우수 / NDV 7.2 통계정보 통계정보에는 오브젝트 통계와 시스템 통계 오브젝트 통계는 테이블 통계, 인덱스 통계, 컬럼 통계로 나뉜다 시스템 통계 : 애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성능 특성을 측정한 것. 아래 항목들을 포함한다 - CPU 속도 - 평균적인 Single Block I/O 속도 - 평균적인 Multiblock I/O 속도 - 평균적인 Multiblock I/O 개수 - I.. 2023. 8. 26.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