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QL40

SQL_Join Join 조인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지어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다. 오라클과 같은 관계형데이터베이스는 모든 정보를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정규화되어 여러 테이블에 분산되어 있다. 데이터가 여러 테이블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위해서는 여러 테이블을 다 조회해야 한다. 조인은 여러 테이블에 흩어져 있는 정보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가져와서 가상의 테이블처럼 만들어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다. Join의 예 사원테이블에는 사번, 이름, 소속부서번호가 있다 부서테이블에는 부서번호, 부서명, 위치가 있다 아래와 같이 사원테이블에서 사원의 이름을 가져오고, 부서테이블에서 그 사원이 소속된 부서명을 조회해야 한다 사원테이블과 부서테이블의 각각의 행을 .. 2023. 12. 13.
SQL_오라클 내장함수(변환함수, 기타함수) 변환함수 묵시적 변환 변환함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데이터의 타입이 자동으로 변하는 것 '문자' -> 날짜 : '문자'가 유효한 날짜 형식의 문자인 경우 날짜로 변경된다 '문자' -> 숫자 : '문자'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숫자로 변경된다 SELECT * FROM EMPLOYEES WHERE HIRE_DATE >= '2005/01/01' AND HIRE_DATE < '2005/07/01'; * 위의 SQL에서 HIRE_DATE가 DATE타입의 컬럼이기 때문에 '2005/01/01'문자가 DATE타입의 값으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 '2005/01/01'이나 '2005-01-01'의 형식인 경우 자동으로 변환된다 SELECT * FROM EMPLOYEES WHERE DEPARTMENT_ID = '10'; .. 2023. 12. 12.
SQL_오라클 내장함수 (문자함수, 숫자함수, 날짜함수) 오라클 내장함수 SQL 작성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 제공되는 함수 DBMS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오라클 내장함수의 종류 단일행 함수 조회된 행마다 하나의 결과를 반환한다 단일행 함수는 중첩해서 사용할 수 이싿 단일행 함수의 종류 문자함수 : 문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 숫자함수 : 숫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 날짜함수 : Date 타입의 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 변환함수 : 데이터의 타입을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 기타함수 : nvl, case, decode 등의 함수가 있다 다중행 함수(그룹함수) 조회된 행을 그룹으로 묶고 행 그룹당 하나의 결과를 반환한다 group by 절을 사용해서 조회된 행을 그룹으로 묶고 다중행 함수로 각 그룹당 하나의 결과(합계, 평.. 2023. 12. 11.
SQL_오라클의 데이터타입 VARCHAR2(size) 가변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 4000 size범위내에서 실제 데이터의 크기만큼만 저장공간을 사용한다 예 ) 이름, 주소, 과목명, 상품명, 뉴스제목 CHAR(size) 고정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 2000 size크기만큼의 저장공간을 무조건 사용한다 예 ) 주민번호, 학번, 수강과목코드 LONG 가변길이 대용량 문자 데이터, 최대값 : 2GB 테이블당 하나밖에 사용할 수 없다 제약조건을 정의할 수 없다 ORDER BY나 GROUP BY에 포함시킬수 없다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음 CLOB 가변길이 대용량 문자 데이터(Character Large Object), 최대값 : 4GB 예 ) 블로그의 본문, 신문기사, 논문 NUMBER(p, s) 가변길이 숫자 데이터 p : .. 2023.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