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32 Java_배열 [ Array ] 배열 배열은 같은 타입의 값을 여러 개 및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을 이용하면 하나의 변수명으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배열은 순서대로 번호(인덱스)가 붙은 요소들이 연속적인 형태로 저장된다. 각 요소에 부여되는 번호(인덱스)는 0번부터 시작하며, 각 요소마다 순서대로 번호(인덱스)가 부여된다. 인덱스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0 2023. 10. 27. Java_반복문(for문, while문) 반복문 반복문은 특정한 수행문을 반복해서 실행하는 구문이다. 반복문은 제시된 조건이 true인 경우 블록내의 수행문을 반복 실행한다. for, while, do ~ while 구문을 사용한다. 반복횟수를 알고 있을 때는 for문, 그렇지 않은 경우는 while문을 사용한다 for문 for문은 지정된 반복횟수만큼 블록내 수행문을 반복수행한다 // for문의 구성요소 및 예시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 수행문; } // 지정된 수행문을 5번 실행하는 for문 for (int i=1; i 2023. 10. 27. Java_조건문( if문과 switch문 ) if문 if문은 제어문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if문을 사용하면 특정한 수행문을 실행되게 하거나 실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if문에는 수행문의 실행여부를 결정지을 조건식이 필요하다. if문의 조건식은 수행결과가 boolean값인 연산식이어야 한다. if문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수행문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한다. if (조건식) { // 조건식이 true로 판정되면 블록내의 수행문이 실행된다. } if ~ else문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와 만족하지 않는 경우 각각 실행할 수행문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한다. if (조건식) { // 조건식이 true로 판정되면 블록내의 수행문이 실행된다. } else { // 조건식이 false로 판정되면 블록내의 수행문이 실행된다. } if ~ el.. 2023. 10. 26. Java_타입의 형변환 형변환 형변환은 값을 다른 타입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형변환을 하는 이유 자바의 연산은 연산에 참여한 값의 타입과 연산결과가 항상 동일한 타입이다. 자바의 연산에 참여하는 값의 타입이 서로 다른 경우, 같은 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이 일어난다. (타입의 변환은 값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값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 1. 크기가 작은 타입 -> 크기가 더 큰 타입 ( long x = 10; int타입 10이 long타입 10으로 변환 후 대입 ) 2. 정밀도가 낮은 타입 -> 정밀도가 더 높은 타입 ( double x = 3; int타입 3이 double타입 3.0으로 변환 후 대입된다. ) 기본 자료형의 형변환 방법 2가지 자동형변환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 2023. 10. 24.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