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
for(let num = 1; num <=3; num++){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console.log(num);
}
1번째 사진은 위에 사진과 달리 console.log(total)에 따른 결과값이다.
위에 사진은 최종 합계에 대한 값만 출력하는 것과 달리 반복문안에 console.log(total)이 있다보니 반복할때마다 매번 total 변수 값을 출력하게 된다
2번째 사진은 블록안에서 total 변수선언을 하다보니 변수 total의 적용범위가 블록밖으로 넘어가지 못해 total 변수를 찾지 못해서 나오는 오류다.블록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해당하는 범위가 블록안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블록 밖에서 사용하려면 블록 안에서 변수를 선언해서는 안된다.
그동안은 코드들은 초기식과 조건식을 for문 안에서 생성 및 초기화를 했었지만, 변수의 생성 및 초기화를 for문 블록 밖에서 한 후 그 값을 초기식과 조건식에 대입해서 사용하는 코드이다.
무조건 for문안에서 변수를 생성하고 초기화 할 필요는 없다.
이중for문
이중for문
for(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수행문1;
for(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수행문2;
}
}
수행문1은 바깥쪽 for문에서 지정한 횟수만큼 실행된다.
수행문2는 (바깥쪽 for의 실행 횟수 * 안쪽 for문의 실행 횟수)만큼 실행된다.
for문을 2번 사용해서 만든 구구단 코드이다.
단을 구성하는 변수 dan의 숫자는 안에 곱하는 수가 9번을 반복한 뒤에 +1이 처리되기 때문에 9번을 곱하는 변수 num을 구하는 for문을 감싸게 된다.
break와 continue
반복문 탈출하기
for(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수행문;
if(탈출조건식) {
break;
}
}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계속 더하는 for문 안에 조건문인 if를 사용해서 합계가 2000이 넘어가면 break문이 실행되고 몇번째 까지 더했는지 더 하는 코드이다.
for문에서 break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특정한 조건이 있을때 break를 사용해서 반복문을 빠져나올수 있다.
반복문 안에서 continue를 사용하면 continue에 해당하는 조건식을 만나게 될 때 해당하는 수행문의 실행을 멈추고 증감식으로 넘어간다
위에 사진에서도 조건이 6이랑 같으면 continue문을 실행하게 하니 5가 출력되고 6은 출력하지 않고 7부터 다시 반복하는걸 알 수 있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7일차 정리 [ 오브젝트 ] (0) | 2023.09.11 |
---|---|
JavaScript 6일차 정리 [ 배열 ] (0) | 2023.09.08 |
JavaScript 4일차 정리 [ if문, switch문 ] (0) | 2023.09.06 |
JavaScript 3일차 정리 [ 연산자 -2- ] (0) | 2023.09.05 |
JavaScript 2일차 정리 [ 상수,연산자 -1- ] (0) | 2023.09.03 |